항행경보 및 안전재난정보 게시
장마철 침수 대비 연근해어선 안전관리 철저
작성자
장세영
작성일
2024-07-19 13:18
조회
129
1. 경상북도 해양수산과-10453(2024.7.16.)호와 관련입니다.
2. 해양수산부 재난안전연구원에서 해양선박 관련 언론보도자료를 분석한 내용을 알려드리니 관내 선주분들께서는 장마철 해양선박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해주시기 바랍니다.
○ (개요) 집중호우 등 항해 위험요소가 증가하는 여름 장마철을 맞아 침수 대비 선박 안전관리 필요
○ (문제점) 최근 5년(2019~2023년)간 월별 해양사고를 분석한 결과, 7월~11월까지 해양사고가 평균(274척)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남.
특히 지난해 7월에 발생한 해양사고 중 최근 5년 평균 대비 증가 폭이 높은 사고유형은 침수(35%)임.
▷ 매년 7월 실제 빗물이 원인이 된 침수사고는 강수량에 비례해 발생하였으며,
사고 선박의 대부분이 총 톤수 3t 이하의 소형 선박으로 파악돼 장마철 집중호우 등에 대비한 정박 안전관리 필요
○ (개선방안) 침수사고 예방을 위해 정박·항해 시 기관실 등 출입구·개구부 폐쇄, 배수펌프 작동여부 점검, 선체 파손여부 확인 등 급변하는 기상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철저한 안전관리 필요(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)
끝.
2. 해양수산부 재난안전연구원에서 해양선박 관련 언론보도자료를 분석한 내용을 알려드리니 관내 선주분들께서는 장마철 해양선박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해주시기 바랍니다.
○ (개요) 집중호우 등 항해 위험요소가 증가하는 여름 장마철을 맞아 침수 대비 선박 안전관리 필요
○ (문제점) 최근 5년(2019~2023년)간 월별 해양사고를 분석한 결과, 7월~11월까지 해양사고가 평균(274척)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남.
특히 지난해 7월에 발생한 해양사고 중 최근 5년 평균 대비 증가 폭이 높은 사고유형은 침수(35%)임.
▷ 매년 7월 실제 빗물이 원인이 된 침수사고는 강수량에 비례해 발생하였으며,
사고 선박의 대부분이 총 톤수 3t 이하의 소형 선박으로 파악돼 장마철 집중호우 등에 대비한 정박 안전관리 필요
○ (개선방안) 침수사고 예방을 위해 정박·항해 시 기관실 등 출입구·개구부 폐쇄, 배수펌프 작동여부 점검, 선체 파손여부 확인 등 급변하는 기상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철저한 안전관리 필요(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)
끝.